[포항 유방] 진공보조유방생검(맘모톰)에서 진단된 관상피내암의 수술적 치료
포항성모병원 외과 서수한 입니다.
오늘은 진공보조유방생검(Vaccum Assisted Breast Biopsy)에서 관상피내암이 진단되어 유방 부분절제 수술까지 시행한 80세 여자분에 대해 말씀드립니다.
평소 고혈압외에 특이 병력 없던 분으로 흥해읍에 사시는 분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시행하는 유방암 검진으로 유방 촬영술(유방 엑스레이 검사, Mammography)를 시행하셨습니다.
유방촬영상 좌측 유방 상외측(Left breast upper outer)에 작은 종양처럼 보이는 조직이 발견되어 정밀 검사를 권유받 제 외래로 오셨습니다.
저희 병원에서 2020.12.22일 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했습니다.
[유방촬영술 판독]
There is asymmetrical obscured nodular shadow in left outer, upper portion
유방 좌측 화살표 한 부분에 작은 결절이 관찰됩니다.
[유방 초음파]
Left : Conglomerated about 4~5mm sized round anechoic nodular images( 2:00~300, N-4cm ). ---> Cyst(C2), probably. R/O Fibroadenoma(Category 3).
왼쪽 유방에 2시~3시 방향, 유두에서 4cm 거리에 4~5mm s크기의 결절이 뭉쳐져(conglomerated) 있다는 소견이고 낭종 또는 섬유선종이 의심된다. Category 3 병변으로 확인된다는 소견입니다.
근데 Category 3가 뭐지? 이런 고민이 들겁니다.
------------------------------------------------------------
그래서 잠깐 BI-RADS category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BI- RADS(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이란 미국 방사선의학회(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ACR)에서 제안한 유방영상 판독 및 데이터 시스템입니다.
1992년 처음개발되었고 이후 지속적으로 계정되고 있습니다.
BI-RADS는 유방 병변의 특성 분석을 위한 서술 어휘와 최종 평가 범주(Category) 및 처치(Management)를 위한 권고를 포함한 판독 형식과 자료 수집과 감사(Audit)를 위한 틀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재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 실제 진료 및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표에서 보시면 Category 3 병변은 일반적으로 조직검사 없이 6개월 추적 관찰해도 되는 병변이며 암이 발생할 확률은 2%미만입니다.
또, Category 4 부터는 거의 대부분 조직검사를 권유합니다.
------------------------------------------------------------
이환자의 경우는 Category 3이지만 종양이 뭉쳐져있는 모양이 조금 의심스러워 환자에게 조직검사를 권유했습니다.
조직검사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총생검(Gun Biopsy), 다른 하나는 진공보조유방생검((Vaccum Assisted Breast Biopsy, VABB) 생검입니다.
진공보조유방생검은 흔히 맘모톰 시술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총생검보다 조직을 많이 얻을 수 있어 진단 정확도가 총생검에 비해 높습니다. 또 시술 후 종양이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Category 3병변일 경우에 진공보조유방생검을 많이 시행합니다.
진공보조유방생검에 대한 과정을 보시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맘모톰 시술(진공보조유방생검), Vaccum Assisted Breast Biopsy
포항성모병원 외과 서수한입니다. 오늘은 맘모톰 시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아래는 맘모톰 시술에 대해 신문 칼럼란에 제가 실었던 내용입니다. 맘모톰이란 무엇인가? 맘모톰(MammotomeR)
ssh7220.tistory.com
2020.12.30일 진공보조유방생검을 시행했습니다.
종양을 초음파로 먼저 확인합니다. 왼쪽 유방 상외측에 종양이 보이시죠?
결절(nodule)이 보이고 그 아래쪽으로 VABB probe가 보입니다.
한번 잘라내면 종양이 일부 절제됩니다. 여러번 반복하여 종양을 절제해 냅니다.
계속 종양을 절제합니다.
VABB 프로브(probe)만 보이고 probe 위쪽으로 종양이 완전히 절제된 소견 입니다.
시술은 출혈없이 잘 끝났습니다.
조직검사를 기다립니다.
만약 조직검사에서 암이 발견되지 않으면 추가치료는 필요 없습니다.
드디어 조직검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조직검사]
DIAGNOSIS: Breast, female, left upper outer(0.777 cm), VABB(vacuum assisted breast biopsy):
Ductal carcinoma in situ
with 1) Architectural pattern: cribriform
2) Nuclear grade: I(low)
3) Necrosis: absent.
최종적으로 관상피내암(Ductal carcinoma in situ, DCIS)로 확인되었습니다.
관상피내암은 유관(duct)에 생기는 암으로 아주 아주 초기암입니다.
영기암(Stage 0)이라고도 합니다.
10년 생존유은 97%로 보고되고 있는 아주 예후가 좋은 암입니다.
그래도 암은 암이기 때문에 종양주위로 안전한 경계를 확보하기 위해 추가적인 절제 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2020.1.10일 수술을 진행했습니다.
절제할 부위를 확인합니다.
감시림프절 생검도 합니다.
감시 림프절 생검은 관상피내암에서는 일반적으로 진행하지 않습니다.그러나 이 환자의 경우는 혹시 원발암이 수술적 절제후에 침윤암으로 확인될수 있어서 감시림프절 생검을 함께 시행했습니다.
인디고카르민이라는 물질에 염색된 림프절을 확인하고 림프절을 절제합니다.
절제된 림프절을 병리과로 보내 동결절편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동결절편 응급 조직검사 진단]
Lymph node, left axillary, biopsy; Frozen section :
Lymph nodes without tumor (0/3)
다행히 동결절편검사에서 액와림프절 전이는 없습니다. 액와림프절곽청술은 시행하지 않아도 됩니다.
기존에 진공보조유방생검을 시행했던 위치를 수술중 초음파로 확인하고 충분한 경계면을 확보하여 유방 부분 절제를 시행합니다.
떠어낸 유방 조직입니다. 방향을 표시하여 조직검사를 보냅니다.
피부를 봉합합니다.
[최종조직검사]
DIAGNOSIS:
Procedure :
Left breast partial mastectomy with SLNBx.
<1> Breast, left, partial mastectomy :
1 Focal Fibrocystic change
2 Inflammation and fibrosis (due to previous VABB)
3 Absence of Atypical ductal hyperplasia/DCIS
4 Resection margins (including skin): Negative for ADH/DCIS
<2> Lymph node, left sential, biopsy :
Reactive hyperplasia (0/3)
최종 조직검사에서 유방에 남아있는 암세포는 없었습니다.
환자는 잘 회복되어 퇴원하셨습니다.
환자는 최종적으로 영기암(Stage 0)로 항암치료는 필요 없습니다.
이후에 호르몬 수용체를 확인하여 호르몬 치료 여부만 결정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