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재발을 자주하는 화농성 한선염(Hidradenitis suppurativa)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먼저 질병에 대해 살펴보죠?
-----------------------------------------------------------------------------------------------------------------------------------
1. 정의
화농성 한선염은 화농땀샘염이라고도 하며, 피부 깊이 위치하는 붉은 염증성 결절과 종기, 이로 인한 흉터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입니다.
서구에서는 전 인구의 1~4%에서 발생하나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낭이 막히고 이후 아포크린샘이라고 하는 땀샘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이 땀샘이 있는 곳 중 특히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잘 발생합니다. 주된 발생 부위는 겨드랑이, 사타구니, 엉덩이 주변, 항문과 생식기 주변 부위 및 여성의 가슴 아래 부위 등 입니다.
화농성 한선염 - 가장 흔한 영향을 받는 부위
2. 증상
화농성 한선염은 주로 사춘기 이후에 증상이 발생합니다.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염증입니다. 처음에는 붉은 염증성 결절 또는 종기로 발생합니다. 염증이 심한 경우 종기가 터지면서 고름이 나오기도 합니다.
화농성 한선염은 보통 시간이 경과할수록 악화됩니다. 통증은 점점 심해지고 병변 부위는 넓어지며, 종기가 터지면서 벌어진 피부가 잘 아물지 않아 만성적인 궤양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피부 아래에서는 농양들끼리 이어져 특징적인 터널 같은 길(농루관, sinus tract)을 형성하게 됩니다.
또한 염증이 반복되었던 부위에 피부 속 깊이까지 흉터가 남으면서, 중증 화농성 한선염의 경우에는 움직임에 불편감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화농성 한선염은 헐리 체계(Hurley staging system)를 기준으로 3단계로 병기와 중증도를 판정합니다.
화농성 한선염 -증상
3. 발병원인
화농성 한선염은 모낭 입구가 막히고 땀샘의 염증이 생기면서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이상 증상이 왜 생기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화농성 한선염은 전염성 질환이 아니며, 좋지 못한 위생 상태나 영양 상태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26% 정도의 환자가 가족력이 있다는 점에서 유전적 요인, 크론병(Crohn's disease)과 같은 자가염증성 질환과 동반될 수 있다는 점에서 면역학적 이상, 사춘기 이후에 증상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호르몬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은 좀 더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화농성 한선염은 여성에서 남성보다 발생할 가능성이 3배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차이가 생기는 원인 또한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화농성 한선염의 증상 악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밝혀져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로는 비만, 흡연, 세균감염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화농성 한선염의 발생 원인은 아니지만, 이러한 요인들을 조절하는 것이 한선염의 증상 악화(flare-up) 횟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화농성 한선염 - 발병원인
4. 치료방법
화농성 한선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절개 배농, 병변부 절제 등의 수술적 치료, 항생제, 레티노이드 등 경구 약물치료, 병변 내 주사 등이 있습니다. 중증 화농성 한선염 환자의 경우에는 생물학적제제로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계획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요인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중증도
- 질병이 이환 기간
- 동반질환
- 증상의 발생 빈도
- 병변의 크기, 범위, 발생 부위 등 증상의 형태
모든 환자에 효과적인 치료는 없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다양한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를 병합하여 치료합니다.
국소 및 경구 약물 치료의 목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현재 발생한 병변의 수와 발생 범위를 줄일 수 있어야 합니다.
2. 새로운 병변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해야 합니다.
사용되는 약물로는 국소 항생제, 염증반응을 줄이기 위해 병변 내 주사 요법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항생제, 레티노이드, 호르몬제제, 면역억제제 등의 경구 약물과 아달리무맙과 같은 생물학적제제가 있습니다.
------------------------------------------------------------------------------------------------------------------------------------------------------------
위와 같이 여러가지 원인이 있고 여러가지 치료를 합니다.
그 치료 중에서 저희 외과에서는 주로 절개 배농의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오늘 본원에 내원하신 환자분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36세 여자분으로 3일 동안 지속된 좌측 겨드랑이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습니다. 2007년에도 양측 겨드랑이에 비슷한 증상으로 수술 받은 병력이 있었습니다.
진찰 소견상 겨드랑이가 부어 있었고 손대기도 힘들정도로 통증을 호소하였습니다.
초음파 소견상 왼쪽 겨드랑이에서 장경 4.5cm 정도의 irregular hypoechoic lesion이 관찰되며, 주위에서 color flows의 증가 소견 관찰되었습니다.
hypoechoic lesion은 초음파상에서 검게 나타난다는 표현, color flows가 증가 되었다는 말은 혈류가 풍부할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화농성 한선염이 의심되는 소견 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수술일 경우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 6시간 이상의 금식이 필요합니다. 금식이 미리 되어 있는 상태라 오후에 응급수술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수술은 계획대로 잘 끝났습니다.
상처를 여는 절개와 고름을 배출하는 배농을 시행했고 조직검사, 균배양 검사도 시행했습니다.
매일 소독하면서 경과를 지켜보겠습니다.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궤양 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강경 수술 (0) | 2020.03.21 |
---|---|
복강경 서혜부 탈장 수술 (94세 남자) (0) | 2020.03.20 |
여성형유방(여유증) 수술 (0) | 2020.03.19 |
충수돌기염(맹장염) 천공( feat.코로나), 복강경 수술 (5) | 2020.03.18 |
갑상선 종양 수술 (0) | 2020.03.16 |